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란?
    네트워크 2025. 3. 8. 13:03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란?

    어떤 장치와 내 장치가 같은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구분하는 기준이다.


    지도로 예를 들자.
    네트워크를 전 세계라고 보면,
    서브넷 마스크는 친구와 내가 같은 도시 안에 있는지 구분할 수 있는 장치다.
    즉, 서브넷 마스크는 도시 경계선이다.

     

    왜 필요할까?

    애초에 왜 통신할때 서브넷 마스크가 필요할까? 그냥 통신하면 안될까?
    그 이유는 현재 통신하고 있는 장치가 너무 많아졌기 때문이다.

    만약 서브넷 마스크가 없어 네트워크를 구분하지 못하면, 어마어마하게 많은 장치를 하나하나 찾아가며 내가 보내야 하는 장치가 맞는지 확인해야 한다.

     

    다시 지도로 예를 들면,

    네이버 본사로 편지를 전달해야하는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178-4"가 아닌 "178-4"라는 정보밖에 몰라서  "178-4"라는 이름을 가진 곳을 전세계를 뒤지며 찾아다녀야 한다.

    즉, 서브넷 마스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이라는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서브넷 마스크는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통신의 효율성을 높인다.

     

    내 노트북의 서브넷 마스크 확인하기

    확인하는 방법은 

    window의 경우 명령프롬프트에 ipconfig를 입력하고,

    Mac의 경우 터미널에 ifconfig를 입력한다.

     

     

    출력된 부분

     

    이 중 가장 아래부분의 "무선 LAN 어댑터 Wi-Fi"가 내 노트북에 대한 정보다.

    현재 무선 wifi로 접속해서 "무선 랜 어댑터"라고 떴다. 유선랜으로 접속하면 "유선 LAN 어댑터"라고 뜬다.

    이 부분을 통해 내 노트북의 "IPv4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확인해볼 수 있다.

     

     

    그럼 어떻게 서브넷 마스크가 네트워크를 구분하는걸까?

    사실 서브넷 마스크 자체가 구분해주는건 아니고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한 후,
    그 결과로 내 기기가 어떤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알 수 있다.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구분한다.

     

    위 사진을 활용하면,
    내 노트북 IP 주소: 172.16.100.192
    내 노트북 서브넷 마스크: 255.255.0.0

    10진수를 2진수로 변경하기
    내 노트북 IP 주소: 172.16.100.192 = 10101100 00010000 01100100 11000000
    내 노트북 서브넷 마스크: 255.255.0.0 = 11111111 11111111 00000000 00000000

    2진수로 AND 연산하기

    10101100  00010000  01100100  11000000   (172.16.100.192)
    11111111  11111111  00000000  00000000   (255.255.0.0)
    -----------------------------------------------------------------------------------------
    10101100  00010000  00000000  00000000   (172.16.0.0) --> 네트워크 주소!

     

    네트워크 주소를 제외한 나머지값 계산하기

    00000000  00000000 01100100 11000000 --> 호스트 주소!

     

    즉, 내 노트북은 172.16.0.0이라는 네트워크에 속한다는 것을 서브넷 마스크를 통해 알 수 있다.

     

     

    전체적인 동작 순서

    1. 내 노트북에서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대의 IP 주소가 자기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아니면 다른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판단

    1-1. 같은 네트워크에 속하면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 바로 상대에게 패킷 전송

    1-2. 다른 네트워크에 속하면 라우터로 패킷 전송
    2.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비교하여 테이블에 상대 IP의 네트워크 주소가  있는지 판단

    2-1. 네트워크 주소가 있으면 해당 네트워크에 대한 다음 라우터를 결정하고, 그 라우터로 패킷 전송

    2-2. 네트워크 주소가 없으면 기본경로(default route)를 사용하여 패킷 전송.

     

    언제 기본 경로를 사용할까?

    거의 모든 경우 기본 경로를 사용한다.
    인터넷 연결시에도 기본 경로를 사용한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