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입출력버스(I/O BUS), 클럭 신호(Clock Signal)에 대하여운영체제 2025. 3. 8. 16:41
아래는 CPU를 중심으로 본 하드웨어 구조다.
모든 구성요소(CPU, 하드디스크, 메인메모리, 모니터 등등)는 입출력 버스(I/O BUS)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입출력 버스(I/O BUS)의 원리?
입출력 버스는 어떻게 모든 구성요소간의 소통을 관리하는 걸까?
모든 구성요소는 클럭 신호에 맞춰 동작하는데,
클럭 신호를 기준으로 지금 각 구성요소가 읽기를 해야 하는지, 쓰기를 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그와 동시에 실제 데이터, 주소를 전달한다.
클럭 신호(Clock Signal)란? 클럭신호의 역할
클럭신호는 여러 구성요소들의 실행 속도를 맞춰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사진 저장"버튼을 클릭하면, 시스템은 클럭 신호에 맞추어 저장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1. 메모리에 사진 저장하기
2. 디스크에 저장할 준비하기
3. 메모리에서 사진 불러오기
4.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하기
하지만 클럭 신호가 없다면, 위 순서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메모리의 속도가 디스크보다 빠르기 때문에,
"디스크에 저장할 준비하기" 동안 "메모리에서 사진 불러오기"가 먼저 실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진 저장이 실패할 수 있다.
따라서 클럭신호가 없으면 작업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동기화 문제가 발생한다.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OS와 HW의 관계, 유저모드/커널모드 (0) 2025.03.23 [OS].c 파일 빌드~실행 전체적인 과정 (0) 2025.03.23 [운영체제] 6. 이중모드와 보호 (0) 2022.01.26 [운영체제] 5. 운영체제의 운용기법 변천사 (0) 2022.01.25 [운영체제] 4. 운영체제(OS)의 구조 (0) 2022.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