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운영체제] 5. 운영체제의 운용기법 변천사운영체제 2022. 1. 25. 12:41
운영체제의 운용기법 발전으로 인해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빠른 속도로 돌릴 수 있게 되었다. 사실 여러 프로그램이 동시에 돌아가지는 않는다. 기술이 좋아져서 그런 것처럼 보이는것이고, 실제로는 한 프로그램씩 실행한다. 이제 운용기법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동시에 돌리는것처럼 보이는 지경에 도달했는지 알아보겠다. 그 전에 알아야 할 규칙 : 프로그램은 CPU 처리 후 I/O(입출력장치) 까지 처리해야 '수행을 완료했다'고 할 수 있다. 1. 일괄 처리 시스템 (1950년대) 특징 : - 한 프로그램이 '수행을 완료'하면 (CPU, I/O 모두 처리) 그 다음 프로그램이 수행된다. - (한개의 프로그램씩 아주 정직하게 실행되는것처럼 느껴진다.) ex) 앱A: CPU 수행 , 앱B: 대기 -> 앱A: I/O ..
-
[운영체제] 4. 운영체제(OS)의 구조운영체제 2022. 1. 25. 09:59
운영체제는 크게 커널(kernel)과 명령어 해석기(Command interpreter, shell)로 나뉜다. 커널 : 운영체제의 모든것이 담겨져있다. 운영체제의 수행을 담당한다. 명령어 해석기 : 일종의 통역사다.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것을 해석하여 커널에게 전달하고, 커널의 수행결과를 출력해준다. 참고한 페이지 https://velog.io/@codemcd/%EC%9A%B4%EC%98%81%EC%B2%B4%EC%A0%9COS-1.-%EC%9A%B4%EC%98%81%EC%B2%B4%EC%A0%9C%EB%9E%80
-
[운영체제] 3. 부팅운영체제 2022. 1. 24. 18:12
부팅 부팅이란, 컴퓨터 전원을 키는 순간부터 운영체제를 메모리로 가져오기까지의 과정이다. 부팅과정 덕분에 컴퓨터를 불완전하게 종료해도 정상적으로 재시작 할 수 있게 된다. 부팅의 과정이다. 1) 컴퓨터 전원을 킨다 2) Processor(=CPU)가 ROM의 POST를 읽어 컴퓨터의 상태를 검사한다. 3) Processor(=CPU)가 ROM의 Boot loader를 읽어 Disk에 있던 운영체제(OS)를 RAM으로 가져온다. 참고 자료 https://velog.io/@codemcd/%EC%9A%B4%EC%98%81%EC%B2%B4%EC%A0%9COS-1.-%EC%9A%B4%EC%98%81%EC%B2%B4%EC%A0%9C%EB%9E%80
-
[운영체제] 2. 컴퓨터의 구조운영체제 2022. 1. 24. 17:26
- Processor (=CPU) : 컴퓨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데이터의 연산을 담당한다. - Main Memory (주기억장치) : 데이터의 저장을 담당한다. Disk보다 처리 속도가 빠르다. - RAM : 휘발성 메모리이다. 프로그램이 할당되어 CPU에게 데이터를 제공한다. - ROM :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컴퓨터의 부팅을 담당한다. - Disk (보조기억장치) : 데이터의 저장을 담당한다. 비휘발성 대용량 메모리이다. CPU가 직접 접근할 수 없다. -ex) 하드디스크, SSD, USB, DVD, SD카드 참고 자료 https://velog.io/@codemcd/%EC%9A%B4%EC%98%81%EC%B2%B4%EC%A0%9COS-1.-%EC%9A%B4%EC%98%81%EC%B2%B..